중국이 블록체인 기반의 국가 데이터 인프라를 공식 발표했다. 이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데이터를 관리하고 처리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는 정부 지원 프레임워크로, 디지털 경제의 기반을 다지는 중요한 프로젝트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디지털 경제에 블록체인 기술을 통합하려는 중국의 광범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향후 산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데이터를 더 안전하게 관리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가장 중요한 점은, 중국이 이 국가 데이터 인프라를 2029년까지 완전히 구현할 계획이라는 것이다.
JUST IN: 🇨🇳 China plans to integrate blockchain technology into its national data infrastructure, aiming for full implementation by 2029. pic.twitter.com/CT7sqYHsiM
— Woody Lightyear 𝛑 (@WoodyLightyearx) January 9, 2025
살펴보기: 상하이 법원, 중국 비트코인 금지 조치 뒤집다… 중국 전력망 감당 가능할까?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시사점
중국의 블록체인 국가 데이터 인프라는 분산 원장 기술(DLT)의 주류 채택을 향한 중요한 발걸음을 의미한다.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과 같은 퍼블릭 블록체인과 달리, 중국의 블록체인 인프라는 허가형 블록체인 모델로 운영된다. 즉, 분산 원장 기술을 활용하긴 하지만, 중앙 정부 당국이 이를 통제하고 있다는 뜻이다.
중국은 자국의 블록체인 표준을 개발함으로써 기업들이 이 인프라에 맞춰 블록체인 솔루션을 채택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비록 중국이 블록체인 기술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지만, 암호화폐에 대한 입장은 여전히 제한적이다.
중국은 2021년 암호화폐 거래와 채굴 활동을 금지했으며, 그 이유로는 금융 안정성 및 에너지 소비 문제를 들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 채택과 가상화폐 규제 사이의 이 상반된 접근은 중국이 분산 원장 기술을 활용하는 데 있어 매우 선택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살펴보기: 비트코인 10만 달러 돌파 임박, 중국의 비트코인 금지, 마이크로스트레티지 붕괴설?
중국, 블록체인 기술을 개방하면서도 암호화폐에는 여전히 강경한 태도 유지
중국은 2021년에 금융 안정성과 에너지 소비에 대한 우려를 이유로 암호화폐 거래와 채굴 활동을 금지했다.
최근 중국은 암호화폐 거래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는 새로운 외환 거래 규정을 도입하며, 암호화폐 관련 활동에 대한 단속을 더욱 강화했다.
2024년 12월 31일,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South China Morning Post)의 보도에 따르면, 은행들은 이제 “위험한 외환 거래 행동”을 모니터링하고 보고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는 지하 은행, 국경을 넘는 도박, 그리고 암호화폐와 관련된 불법적인 국경 간 금융 활동이 포함된다.
비트코인 무료특강
- 10만명 이상의 교육 수강자 보유
- 매일 총 7일 간, 이메일로 제공되는 강의
- 단 기간, 효과적인 교육 보장!
99비트코인을 신뢰할 수 있는 이유
2013년에 설립된 99비트코인 팀은 비트코인 초창기 시절부터 암호화폐 전문가로 활동해 왔습니다.
주간 리서치
10만명 이상월간 독자
전문가 팀
2000개 이상크립토 프로젝트 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