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의 핵심 내용
암호화폐 커뮤니티는 항상 코인 강세장에 대한 논의로 시끄럽다. 그중에서도 특히 이더리움
강세장이 시작될 지에 관한 논의가 격렬하게 이루어졌다. 이더리움 시총은 2,500억 달러 이상으로 시장에서 두 번째로 큰 암호화폐인만큼 그에 대한 의견도 분분한 것이다.현재 이더리움 기술 및 펀더멘탈 분석은 이더리움 강세장에 대한 긍정적인 신호를 보이고 있다. 심지어 월스트리트에서도 이더리움에 주목한다.
이더리움 강세장을 이끈 이더리움의 역사
이더리움은 펀더멘탈이 매우 탄탄한 프로젝트다. 2016년 7월 하드포크를 진행하여 두 가지 블록체인으로 나뉜 것이 대규모 업그레이드의 시작이었다. 하드포크로 기존 이더리움은 이더리움 클래식(ETC)와 이더리움(ETH)로 나뉘었다. 2017년 9월에는 메트로폴리스 업그레이드를 통해 zk-SNARK를 지원하기 시작했고 블록 리워드를 5 ETH에서 3 ETH로 낮췄다. 2019년 2월에는 또 다른 메트로폴리스 업그레이드를 통해 가스 최적화를 진행했다. 이를 통해 스마트 컨트랙트 효율을 향상하고 리워드를 3 ETH에서 2 ETH로 줄였다.
#Byzantium (Metropolis pt 1) hard fork went live on Ropsten testnet yesterday https://t.co/hUNWVg0ect pic.twitter.com/krs9D7GqUE
— Ethereum.org (@ethereum) September 20, 2017
2019년 12월에는 이스탄불 하드포크, 2020년에는 뮈르 글레이셔 하드포크, 베를린 업그레이드, 런던 하드포크를 연이어 진행했다. 2021년에는 알테어 업그레이드를 통해 PoS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이더리움 2.0의 비콘 체인과 최초로 통합했다. 그후 더 머지를 진행하여 기존 PoW 방식에서 PoS 방식으로 전환했다. 합의 메커니즘의 전환으로 이더리움 강세장이 촉발되었다.
And we finalized!
Happy merge all. This is a big moment for the Ethereum ecosystem. Everyone who helped make the merge happen should feel very proud today.
— vitalik.eth (@VitalikButerin) September 15, 2022
PoS 합의 메커니즘으로 전환한 덕분에 에너지 소비가 99.95%까지 절감되었다. 이와 더불어 채굴도 불가능해졌으며 검증인이 네트워크 보안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는 확장성 향상을 불러왔다. 올해 3월 진행된 최신 업그레이드인 덴쿤 업그레이드로 댕크 샤딩(EIP-4844)이 도입되었다. 이를 통해 레이어 2 프로젝트의 확장성을 활용할 수 있게 되어 수수료와 처리량이 향상되었다.
이더리움 공동 창업자 비탈릭 부테린은 아래와 같은 다이어그램으로 이더리움의 다음 여정을 소개했다.
(출처)
이더리움은 디앱을 구축하고 개발할 수 있는 더욱 효율적이고 유연한 블록체인으로 거듭나고 있다. 이더리움이 PoS로 전환한 이후 ETH 공급량이 13만 3,000 ETH로 감소했다. PoW 방식을 유지했다면 공급량은 1,000만 ETH를 넘었을 것이다. 울트라사운드 머니에서 그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최근 프라하(실행 레이어)와 일렉트라(합의 레이어)를 동시에 진행한 펙트라 업그레이드로 이더리움 강세장을 촉발이 촉발되기도 했다.
함께 보기: 2025년 이더리움 지갑 BEST 순위는? | 이더리움 지갑 만들기
이더리움 강세장 시작될까?
기술적인 측면에서 이더리움 성과는 기대에 못미친다. 작년 10월부터 12월에 3,900달러 선에 도달하며 가격을 회복하나 싶었지만 이후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 이더리움은 2,065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하지만 일주일 타임프레임을 분석했을 때 이더리움은 상승 깃발을 그리고 있다. RSI(상대강도지수)가 재설정되었으며 이더리움 가격은 최대 3,500달러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더리움은 더 높은 저가를 형성하고 있다. 이전 저가는 2022년 기록했던 1,000달러다. 이더리움 가격이 이에 도달하면 매수가 늘어날 것이다. 일일 타임프레임 상에서도 이더리움 RSI가 바닥을 치고 있고 ETH 가격은 지지선을 유지하고 있다.
현재 가격과 위치를 고려하면 기관에서 이더리움에 관심을 갖는 것은 당연하다. 이더리움 가격 반등이 기대되고 기관에서도 이더리움 퍼포먼스에 주목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이더리움 강세장이 형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함께 보기: 2025년 투자 트렌드 미리보기 | 이더리움 기반 밈코인 추천 순위
핵심 요약
99비트코인을 신뢰할 수 있는 이유
2013년에 설립된 99비트코인 팀은 비트코인 초창기 시절부터 암호화폐 전문가로 활동해 왔습니다.
주간 리서치
10만명 이상월간 독자
전문가 팀
2000개 이상크립토 프로젝트 리뷰